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용직 노무비 4대 사회보험료 공제 및 소득세 계산

by 부귀화 2023. 2. 17.

건설업 원가 중에서 재료비와 노무비의 비중이 상당하게 차지합니다.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건설업에서 종사하는 일용근로자 분들은 하루 일당에서 세금을 공제하게 됩니다. 일용노무비 세금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세금 비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 8월 1일부터 건설일용 근로자의 국민연금, 건강보험 사업장 기준이 월 20일 이상에서 월 8일 이상으로 개정이 되었습니다. 월 8일 이상 근로를 하게 되면 4대 보험을 부과하게 됩니다. 8일 미만인 7일까지만 4대 보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일용직근로자

일용직근로자는 건설공사에서 1년 미만으로 근무하거나 사업자에게 3개월 이상 고용되어 있지 않은 근로자를 말합니다. 급여를 시간에 따라 임금을 계산하거나, 근로제공일 단위로 임금을 계산하여 받는 근로자를 말합니다. 일용근로자의 경우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특정 계산 방법으로 일용직 근로소득세를 공제합니다. 일용직 근로자는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프리랜서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 상용직근로자

상용직근로자는 일반적으로 정직원을 말합니다. 회사에 소속되어 있고 매월 4대보험을 정기적으로 공제한 급여를 받는 근로자를 말합니다. 상용직은 근로소득세 간이세액표에서 급여별로 근로소득세를 공제합니다.

 

 

■ 사업소득자(프리랜서)

사업소득자는 특정 집단이나 기업에 전속되지 않고 고용관계없이 자유 계약에 따라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말합니다. 매년 종합소득세 3.3% 원천징수 납부 대상자인 사업소득자입니다.

 

 

■ 일용직 근로 소득세 

일용근로자 근로소득세는 1일 15만 원까지는 비과세 입니다. 하루 일당이 15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15만 원이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만 소득세 2.7% + 지방소득세 10%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소득세 원천징수액이 1,000원 미만일 경우에는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 일용근로자 소득세 계산

하루일당 15만원 이하이고 근로일수 7일인 경우

(하루 일당 - 150,000) × 2.7% × 근로일수 = 소득세

소득세 × 10% = 지방소득세

(150,000-150,000) × 2.7% × 7 = 천 원 이하 (소득세 + 지방소득세 없음)

 

하루일당 20만 원 이상이고 근로일수 7일인 경우

(하루 일당 - 150,000) × 2.7% × 근로일수  = 소득세

(200,000 - 150,000) × 2.7% × 7 = 9,450원 (소득세)

9,450 × 10% = 940원 (지방소득세)

9,450 + 940 = 10,390원 (합계 공제액)

 

하루일당 187,000원 이하인 경우

(187,000 - 150,000) × 2.7% = 999원 (소득세)

 

소득세 원천징수액 1,000원 미만일 경우에는 소액부징수에 따라 소득세를 공제하지 않습니다. 단, 근로일수를 합산하여 일괄지급하는 경우에는 하루 일당 소득세가 1,000원 미만이라고 하더라도 노무비 지급 시점의 지급액을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소액부징수 규정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소득세를 공제하고 지급받게 됩니다.

 

 

■ 노무비 명세서에 부과되는 세금

  • 소득세 - 노무비 총합계 금액의 2.7% 공제
  • 지방소득세 - 소득세 공제금의 10% 공제
  • 건강보험료 - 7일 이상 근로일 경우 3.545% 공제 (7.09% = 사업주 3.545% + 근로자 3.545%)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공제금의 12.81% 공제
  • 연금보험료 - 7일 이상 근로일 경우 4.5% 공제 (9% = 사업주 4.5% + 근로자 4.5%)만 60세 이상 제외
  • 고용보험료 - 실업급여 0.9% 공제 (만 65세 이상 제외)

 

■ 사업주 신고사항

일용직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에는 일용직 소득세를 원천징수한 다음 달 10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노무비 지급명세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하며, 회계사 사무실 및 세무사를 이용할 경우에는 일용노무비명세서 신고 및 근로내용신고를 하면 됩니다.

 

 

■ 일용직 소득세 3.3% 는?

일용직 소득세 3.3%는 일용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사업주가 납부하는 것입니다. 국세 3% + 지방세 0.3%, 즉 3.3%입니다.  일용근로자는 프리랜서가 아니기 때문에 3.3%를 공제하는 곳이 있는데 이는 잘못 공제된 경우입니다. 

 

 

일용직 근로자분들에게 공제되는 세금과 비율을 알고 계신다면 나의 소중한 노무에 대한 합당한 소득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