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

2023년 4대 사회 보험 [건강.연금.고용.산재] 요율 새해가 되면 바뀌는 것들이 많지만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보는 것들은 소득과 관련된 경제적인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소득이 생기면 국가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들이 있습니다. 2022년에 비교해서 2023년에는 요율이 얼마나 인상이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공적 세금이 있습니다. 국민연금보험,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이 있습니다. 국민연금보험 국민연금이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연금제도 입니다. 국내 거주 국민으로 18세 이상부터 60세 미만에 해당하는 국민일 경우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노후의 생활안정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지급되는 가장 기초적인 사회보험 제도 입니다.국민연금은 10년 이상 납입해야 하며, 만 66세부터 수령할.. 2023. 1. 13.
마로니에(칠엽수) 잎사귀 발현 증상 여름철이면 마로니에(칠엽수)가 잘 자라는 곳이 있는 반면에 어떤 곳의 마로니에는 잎사귀가 햇볕에 타서 오그라진 것 같은 증상들을 보곤 합니다. 단풍철도 아니고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것도 아닌데 왜 이렇게 잎사귀들이 갈색으로 변하는 증상들이 나타나는지 그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로니에가 이렇게 변하게 되는 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2가지 원인과 증상이 주원인일 경우가 많습니다. 첫째, 얼룩무늬병 입니다.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는 칠엽수의 자주 발현되는 병으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합니다. 병든 잎은 뜨거운 여름 햇볕에 탄 것처럼 지저분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조경수로써 미관상 좋지 않습니다. 특히나 봄과 여름에 비가 많이 온 해에 심하게 발생이 됩니다. 둘째, 피소현상 및.. 2023. 1. 11.
벽걸이 TV 설치방법 (타공 VS 무타공) 벽걸이 TV 설치 시 벽에 구멍을 뚫는 타공 방식과 뚫지 않는 무타공 방식이 있다. 우선 타공 방식이란 말 그대로 벽에 구멍을 뚫어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방법이고, 무타공 방식은 특수 자재를 이용하여 벽에 손상 없이 시공하는 방법이다. 그럼 각각의 장·단점 및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사를 앞두고 가전제품을 새로 구입해야 하는 상황인데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기존에 쓰던 스탠드형 TV 대신 벽걸이형 TV를 놓고 싶은데 마땅한 업체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타공방식과 무타공 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이쯤에서 알아보자. 벽걸이 TV 타공 방식 타공방식은 벽을 팽팽하게 빠져나온 고정재를 이용하여 TV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벽을 뚫고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전 벽의 상태와 배선 등을 확인.. 2023. 1. 10.
햇반이 만들어진 배경 & 보관법 햇반 하나면 밥 한 끼 뚝딱 해결할 수 있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고 먹는 사람은 드물다. 전자레인지에 2분만 돌리면 갓 지은 밥맛을 느낄 수 있는 햇반은 쌀눈쌀이라는 특수미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쌀눈쌀이란 백미보다 영양분이 많고 식감이 더 부드러운 품종인데 일반백미 대비 10%가량 가격이 비싸다. 하지만 영양소도 풍부하고 맛도 좋기 때문에 건강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가성비가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굳이 비싼 쌀눈쌀을 쓰는 걸까? 바로 도정과정에서의 차이 때문이다. 보통 우리가 먹는 백미는 5~7번 깎아서 만들어지는 반면 쌀눈쌀은 3번만 깎아도 충분하다. 즉 훨씬 덜 깎기 때문에 영양 손실이 적고 소화흡수율 또한 높다.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 함유량도 높아 포만감 유.. 2023.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