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취업

『산림레포츠지도사』자격 취득 방법 - 체육지도사 자격 있다면 도전하세요.

by 부귀화 2022. 6. 14.

산림레포츠 지도사는 2020년 6월 산림청에서 도입한 자격 제도입니다. 산림레포츠 시설에서 안전한 레포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관리하는 전문 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1년 12월 16일부터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서 산림레포츠 지도사도 산림복지 전문가에 포함되었습니다. 개정 이전의 산림복지 전문가는 숲해설가, 유아 숲 지도사, 숲길 등산 지도사, 산림치유지도사가 있습니다. 산림레포츠 지도사는 어떤 자격증인지 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산림레포츠 지도사란?

산림청에서 2020년 산림레포츠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도입한 자격증입니다. 산림레포츠 시설 운영과 산림레포츠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레포츠 활동지도 및 안전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일을 합니다. 산림레포츠 지도사는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른 체육지도자 자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산림레포츠 지도사 교육기관에서 일정 교육을 이수하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말합니다.

 

 

산림레포츠 지도사 교육대상자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체육지도사 자격(건강 운동관리사 제외)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 산림레포츠와 같거나 유사한 종목을 가진 사람 사람에 한해 종목별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교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산림레포츠 지도사 종목별 자격기준

출처 - 산림교육원 홈페이지

산림레포츠지도사 종목별자격기준
산림레포츠지도사 종목별자격기준

 

산림레포츠 지도사 교육일정

산림레포츠 지도사 양성과정에서 10일간(2주) 총 75시간 교육을 이수하고 시험 평가 후 자격증을 발급합니다.

제1차

  • 교육일정: 2022. 04. 18. ~ 04. 29.
  • 교육기간: 10일
  • 교육시간: 76시간 (강의 53, 실습 22)
  • 수료기준: 90%
  • 교육 이수시간: 76시간 중 60시간 이상 수강
  • 평가방법: 교육평가 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100점 만점)

 

제2차

  • 교육일정: 2022. 08. 22. ~ 09. 02.
  • 교육기간: 10일
  • 교육시간: 76시간(강의 53, 실습 22)
  • 수료기준: 75%
  • 교육 이수시간: 76시간 중 60시간 이상 수강
  • 평가방법: 교육평가 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100점 만점)

 

교육 수강시간의 인정

  • 산림치유지도사, 숲해설가, 유아 숲 지도사, 숲길 등산지도사, 산림레포츠 지도사 자격 소유자의 경우 공통교육과정(산림분야의 이해)  8시간
  • 대한적십자사 응급처치법 일반과정. 전문과정 및 강사 이수자 또는 응급처치 관련 및 산림레포츠 지도사 자격 소유자의 경우 공통교육과정(응급처치)  8시간

*위 공통교육과정 모두 이수 시 16시간 인정

 

 

산림레포츠 지도사 교육신청 방법

산림교육원 정보시스템 접속 → 로그인 → 교육신청 버튼 클릭 → 교육과정 선택

산림교육원 교육은 매월 1~ 10일에 다음 달 교육과정 신청을 받습니다. 접수는 선착순으로 마감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산림레포츠 지도사 양성기관

자세한 교육과정 및 일정은 아래 양성기관 홈페이지 및 담당자 문의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산림교육원
  • 국립 등산학교

 

 

산림레포츠 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체육지도사 자격을 먼저 취득한 후 산림레포츠 지도사양성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산림레포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산림레포츠 시설에 배치되어 근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문인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산림레포츠 활동 시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민의 건강 증진과 여가활동을 위해 각 지자체마다 산림레포츠 시설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청년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